한국장학재단 9구간, 장학금 못 받는 걸까?
9구간이면 그냥 끝? 그런 건 아니에요. 오히려 2025년부터 9구간도 장학금 받을 수 있게 됐거든요.
부모님이 직장 다니시는데 "우리 집은 9구간이라 장학금 못 받을 거야"라고 포기하시는 분들... 이제는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길.
2025년 달라진 점: 9구간도 장학금 받아요
제일 중요한 변화부터 말씀드리면, 2025년부터 국가장학금 I유형 수혜 조건이 기존 8구간 이하에서 9구간 이하로 확대됐어요.
9구간 기준이 정확히 얼마인지 궁금하시죠?
9구간은 기준 중위소득의 300%예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인 가구 기준으로는 6,097,773원이니까... 계산해보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소득인정액이 약 1,829만원 정도까지가 9구간에 해당해요.
여기서 소득인정액이란 단순히 월급만이 아니라 재산도 포함된 개념이에요. 주택, 토지, 자동차, 금융재산 등을 모두 합산해서 계산하는 거죠.
9구간 학생이 받을 수 있는 장학금
일반 학생 (9구간)
- 연간 최대 100만원 (학기당 50만원)
다자녀 가정 (3자녀 이상)
- 첫째·둘째: 연간 최대 135만원
- 셋째 이상: 연간 200만원 (소득구간 관계없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죠? 특히 다자녀 가정은 첫째·둘째도 혜택이 있고, 셋째부터는 소득구간 상관없이 200만원 받을 수 있다니...
국가장학금 I유형 vs II유형, 뭐가 다른가?
헷갈리게 만든 기준 많음;; 간단히 정리하면:
국가장학금 I유형 (소득연계형)
- 소득 9구간 이하 학생 대상
- 소득 낮을수록 더 많이 줌
- 1-3구간: 학기당 285만원 / 4-6구간: 210만원 / 7-8구간: 175만원 / 9구간: 50만원
국가장학금 II유형 (대학연계형)
- 각 대학 자체 기준으로 선발
- 9구간 이하 학생 중에서 대학이 알아서 선발
- 금액도 대학마다 다름
9구간이라 장학금 못 받는다고? 체크해볼 점들
잘못 알고 있는 것들
- "9구간이면 아예 못 받는다" → 틀렸어요. 2025년부터 받을 수 있음
- "부모님 연봉 8천만원 넘으면 끝" → 소득인정액 기준이라 재산도 같이 계산됨
- "성적 안 좋으면 아예 안 돼" → 기초·차상위는 C학점(70점)도 가능
실제 신청 조건
- 성적 기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평균 B학점(80점) 이상
- 나이 제한: 만 35세 이하 (학부생 기준)
- 신청 절차: 가구원 정보 동의 + 서류 제출 완료
9구간 넘어서면 받을 수 있는 다른 지원들
장학금은 못 받아도 다른 방법이 있어요:
취업후상환학자금대출
- 등록금 전액 대출 가능
- 금리 1.7% (2025년 기준)
- 취업 후 소득 생기면 그때 상환
- 상환기준소득 초과할 때까지 원금 상환 유예
일반상환학자금대출
- 최대 10년 거치 (이자만 납부)
- 이후 원리금 분할상환 (최장 10년)
교내 장학금
- 각 대학별로 다양한 장학금 있음
- 성적 우수자, 가계곤란자 등 다양한 기준
신청 시 놓치기 쉬운 포인트
신청 전 체크리스트
- [ ] 소득구간 확인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모의계산 가능)
- [ ] 성적 기준 충족 여부
- [ ]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부모님 동의 필수)
- [ ] 필요 서류 미리 준비
탈락하는 주요 이유들
- 성적 기준 미충족 (직전 학기 12학점 미만 또는 평균 80점 미만)
-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미완료
- 서류 미제출 또는 기한 내 미제출
- 소득인정액 산정 시 재산 과다 (특히 부동산)
실제 사례로 보는 9구간 장학금
제 동생이 작년에 부모님 맞벌이 때문에 장학금 포기했었는데, 올해 9구간 확대되면서 신청해봤더니 학기당 50만원 받을 수 있었어요. 1년이면 100만원이니까 적지 않은 금액이죠.
정리하면...
9구간이라고 해서 무조건 장학금 못 받는 건 아니에요. 2025년부터는 50만원이라도 받을 수 있고, 다자녀 가정이면 더 많이 받을 수 있어요.
혹시 9구간 넘어서도 취업후상환학자금대출이나 교내 장학금 같은 다른 방법들이 있으니 포기하지 마시길.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모의계산 한번 해보시고, 조건 되면 꼭 신청해보세요. 신청 안 하면 0원, 해보면 최소 50만원이니까 해볼 만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