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전세자금 지원, 조건 정리
주변에서 결혼하는 친구들이 늘어나면서... 전세자금 때문에 고민하는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한번 제대로 알아봤는데, 신혼부부 전세자금 지원 제도가 생각보다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서 정리해볼게요!
사실 정부 지원 대출이라고 하면 복잡할 것 같잖아요? 근데 막상 보니까 기본 조건만 맞으면 신청 자체는 어렵지 않더라구요.
기본 조건부터 차근차근
신혼부부 전세대출을 받으려면 이 조건들만 맞으면 돼요:
기본 조건 세부 내용
혼인 기간 | 혼인관계증명서 상 혼인기간이 7년 이내인 가구 또는 3개월 이내 결혼을 예정하여 세대 구성이 예정된 가구 |
소득 기준 | 대출 신청인과 배우자의 연소득 합산 7천 5백만원 이하 |
자산 기준 | 대출 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자산기준 3.37억원 이하 |
주택 조건 |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 |
여기서 놓치기 쉬운 게... 대출 신청일 현재 세대주로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이상을 지불한 자라는 조건이에요. 즉, 계약금을 미리 준비해둬야 한다는 뜻이죠.
그런데 좋은 소식이 하나 있어요! 올해 4월 정부가 신생아 특례대출과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의 소득요건을 대폭 완화할 예정이라고 하니까, 앞으로는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대출 한도와 금리 현실적으로 어떨까?
제일 궁금한 부분이겠죠?
대출 한도
- 수도권: 수도권 3억원
- 수도권 외: 수도권 외 2억원
- 전(월세) 계약서상 임차보증금 70%(신혼,2자녀 가구 80%) 이내 대출 지원
금리
대출금리 : 연 2.1% ~ 2.9%
여기서 진짜 혜택은 우대금리인데요... 신혼 가구 1.2~2.1%, 1자녀 0.3%p, 2자녀 0.5%p, 3자녀 이상 0.7%p 우대금리 적용된다고 해요. 시중은행 전세대출과 비교하면 정말 저렴한 수준이죠!
버팀목 vs 신혼부부 전용, 어떤 게 더 나을까
이것도 많이 헷갈리는 부분인데... 둘 다 주택도시기금의 상품이지만 버팀목 대출은 전세자금을 대출해 주는 상품이고, 디딤돌 대출은 주택구매자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이에요.
일반 버팀목 대출: 누구나 신청 가능 (소득 기준 맞으면)
신혼부부 전용: 말 그대로 신혼부부만, 대신 금리나 한도가 더 우대
만약 아기가 있다면? 2년 이내 자녀를 출산·입양한 부부합산 연소득 1억 3천만원 이하의 가구라면 금리 혜택이 더 높은 '신생아 특례 버팀목 대출'도 알아보세요!
꼼꼼히 체크해야 할 실수들
- 계약금을 전세보증금의 5% 이상 미리 납부했는지 확인
- 부부 합산 소득이 정확히 7,500만원 이하인지 재확인
- 세대 전원이 무주택자인지 (형제, 부모 주택 소유 여부도 체크)
- 전세금이 수도권은 4억원 이하,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3억원 이하인지 확인
나이 제한은 따로 없어요. 다만 혼인 기간이 7년 이내라는 조건만 맞으면 되니까 생각보다 관대한 편이죠.
서울 거주하시는 분들은 추가로 부부합산 연소득 1억 3천만원 이하면 신혼부부 주거지원금 형태로 이자지원도 받을 수 있어요. 이건 대출이 아니라 이자를 지원해주는 거라서 부담이 덜하죠.
신청은 기금e든든 웹사이트 신청 또는 수탁은행(우리, 국민, 기업, 농협, 신한) 방문 신청으로 할 수 있어요.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죠? 신혼부부라면 한번쯤은 꼭 알아볼 만한 제도인 것 같아요. 조건만 맞으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