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간제 알바 퇴직금, 지급 조건 정리

by 파인드머니 2025. 7. 4.

시간제 알바 퇴직금, 지급 조건 정리

하루 4시간씩 주 3일만 일해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조건만 맞으면 100% 받을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시간제니까 퇴직금 안 줘"라고 생각하는데, 이건 완전 잘못된 정보야. 내가 아는 친구도 카페에서 주말에만 일했는데 1년 넘게 하니까 퇴직금 받더라...

핵심 요약: 주당 15시간 이상 + 1년 이상 근무면 시간제든 풀타임이든 똑같이 퇴직금 받을 권리가 있음. 2025년 현재 기준도 동일!
 

퇴직금 발생 핵심 조건 2가지

시간제 알바 퇴직금은 생각보다 간단해. 딱 2가지만 맞으면 돼.

조건 기준 설명
근무 기간 1년 이상 계속 근로 365일 꽉 채워야 함. 364일도 안 됨ㅠㅠ
근무 시간 주 15시간 이상 (4주 평균) 월 60시간 넘으면 OK. 매주 15시간이 아니어도 평균으로 계산

여기서 중요한 건 "4주 평균"이라는 부분. 어떤 주는 20시간, 어떤 주는 10시간 일해도 4주 평균이 15시간 넘으면 조건 충족!

실제 예시:
• 1주차: 18시간
• 2주차: 12시간
• 3주차: 18시간
• 4주차: 12시간
→ 평균: (18+12+18+12)/4 = 15시간 → 퇴직금 대상!

그런데 아래 경우는 예외야...

  • 주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근로자"
  • 1년 미만 근무자
  • 동거 친족만 고용하는 사업장
  • 가사도우미

이런 케이스는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어.

 

내 근무 시간 계산해보기

내가 퇴직금 받을 수 있는지 한 번 체크해보자.

근무 패턴 주당 시간 퇴직금 가능 여부
주 3일 × 5시간 15시간 O (딱 맞음)
주 2일 × 8시간 16시간 O
주 4일 × 4시간 16시간 O
주 2일 × 6시간 12시간 X (시간 부족)
주 3일 × 4시간 12시간 X (시간 부족)

보다시피 하루 몇 시간이냐가 아니라 주당 총 시간이 15시간 이상인지가 핵심이야.

4주 평균 계산 예시:
어떤 주는 20시간, 어떤 주는 10시간 일했다면?
→ (20+10+20+10)/4 = 15시간 → 조건 충족!
매주 똑같이 일할 필요 없어.

 

실제 계산 예시로 알아보자

구체적인 사례로 퇴직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계산해보자.

케이스 1: 카페 알바
• 근무: 주 3일 × 5시간 = 15시간
• 시급: 1만원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 기준)
• 근무 기간: 1년 3개월 (15개월)
• 월 평균 임금: 15시간 × 4주 × 1만원 = 60만원
퇴직금 계산:
• 평균임금: 60만원
• 근무 년수: 15개월 ÷ 12개월 = 1.25년
• 퇴직금: 60만원 × 1.25년 = 75만원

케이스 2: 편의점 야간 알바
• 근무: 주 2일 × 8시간 = 16시간
• 시급: 1만원
• 근무 기간: 2년
• 월 평균 임금: 16시간 × 4주 × 1만원 = 64만원
퇴직금 계산:
• 평균임금: 64만원
• 근무 년수: 2년
• 퇴직금: 64만원 × 2년 = 128만원

생각보다 적지 않지? 특히 2년 이상 일하면 꽤 큰 돈이 돼.

 

사장님들이 자주 틀리는 부분

회사에서 퇴직금 안 준다고 할 때 자주 하는 핑계들 정리해봤어.

"파트타임은 퇴직금 없어요"

이거 완전 거짓말. 근무 형태가 아니라 시간과 기간이 기준이야. 파트타임이어도 조건 맞으면 100% 줘야 함.

"근로계약서 없으니까 안 돼요"

이것도 틀림. 근로계약서 유무와 퇴직금은 별개야. 실제로 일한 시간과 기간만 중요해.

"4대보험 안 들어서 해당 없어요"

이것도 거짓말. 4대보험 가입 여부와 퇴직금은 전혀 관계없음. 실제 근무 조건만 맞으면 받을 수 있어.

"우리는 소규모 사업장이라..."

사업장 규모도 상관없어. 1인 사업장이라도 조건 맞으면 퇴직금 의무가 있음.

사장님들이 알아야 할 진실: 퇴직금 안 주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받을 수 있음. 꼼수 부리지 말고 법대로 하는 게 나아.

 

퇴직금 신청하는 법

조건 다 맞는데 회사에서 안 준다면? 바로 신고해.

신고 방법: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 없이 1350
  • 가까운 고용센터나 지방고용노동청 직접 방문
  • 온라인: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신고

준비할 것들:

  • 근로계약서 (없어도 무관)
  • 급여명세서나 통장 입금 내역
  • 근무 스케줄표나 출퇴근 기록
  • 회사와 주고받은 메시지나 이메일

실제로 노동청에 신고하면 회사에서 거의 다 해결해줘. 법적으로 명확한 의무니까 회사도 어쩔 수 없거든.

퇴직금 청구권은 3년이면 소멸돼. 그러니까 퇴사하고 3년 지나면 더 이상 못 받으니까 빨리 처리하는 게 좋아.

최종 정리: 시간제 알바라고 무조건 퇴직금 못 받는 건 아님. 주 15시간 이상 + 1년 이상만 맞으면 정규직이랑 똑같이 받을 수 있어. 회사에서 안 준다고 하면 바로 1350번 전화해!